<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과 달리,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17-37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17 “내가 율법이나 예언서들을 폐지하러 온 줄로 생각하지 마라.
폐지하러 온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완성하러 왔다.
18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하늘과 땅이 없어지기 전에는,
모든 것이 이루어질 때까지 율법에서 한 자 한 획도 없어지지 않을 것이다.
19 그러므로 이 계명들 가운데에서 가장 작은 것 하나라도 어기고
또 사람들을 그렇게 가르치는 자는 하늘 나라에서 가장 작은 자라고 불릴 것이다.
그러나 스스로 지키고 또 그렇게 가르치는 이는
하늘 나라에서 큰사람이라고 불릴 것이다.
20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21 ‘살인해서는 안 된다. 살인한 자는 재판에 넘겨진다.’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2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
그리고 자기 형제에게 ‘바보!’라고 하는 자는 최고 의회에 넘겨지고,
‘멍청이!’라고 하는 자는 불붙는 지옥에 넘겨질 것이다.
23 그러므로 네가 제단에 예물을 바치려고 하다가,
거기에서 형제가 너에게 원망을 품고 있는 것이 생각나거든,
24 예물을 거기 제단 앞에 놓아두고 물러가 먼저 그 형제와 화해하여라.
그런 다음에 돌아와서 예물을 바쳐라.
25 너를 고소한 자와 함께 법정으로 가는 도중에 얼른 타협하여라.
그러지 않으면 고소한 자가 너를 재판관에게 넘기고
재판관은 너를 형리에게 넘겨, 네가 감옥에 갇힐 것이다.
26 내가 진실로 너에게 말한다.
네가 마지막 한 닢까지 갚기 전에는 결코 거기에서 나오지 못할 것이다.
27 ‘간음해서는 안 된다.’고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8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음욕을 품고 여자를 바라보는 자는
누구나 이미 마음으로 그 여자와 간음한 것이다.
29 네 오른 눈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빼어 던져 버려라.
온몸이 지옥에 던져지는 것보다 지체 하나를 잃는 것이 낫다.
30 또 네 오른손이 너를 죄짓게 하거든 그것을 잘라 던져 버려라.
온몸이 지옥에 던져지는 것보다 지체 하나를 잃는 것이 낫다.
31 ‘자기 아내를 버리는 자는 그 여자에게 이혼장을 써 주어라.’ 하신 말씀이 있다.
32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불륜을 저지른 경우를 제외하고 아내를 버리는 자는
누구나 그 여자가 간음하게 만드는 것이다.
또 버림받은 여자와 혼인하는 자도 간음하는 것이다.
33 ‘거짓 맹세를 해서는 안 된다. 네가 맹세한 대로 주님께 해 드려라.’ 하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또 들었다.
34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아예 맹세하지 마라.
하늘을 두고도 맹세하지 마라. 하느님의 옥좌이기 때문이다.
35 땅을 두고도 맹세하지 마라. 그분의 발판이기 때문이다.
예루살렘을 두고도 맹세하지 마라. 위대하신 임금님의 도성이기 때문이다.
36 네 머리를 두고도 맹세하지 마라.
네가 머리카락 하나라도 희거나 검게 할 수 없기 때문이다.
37 너희는 말할 때에 ‘예.’ 할 것은 ‘예.’ 하고,
‘아니요.’ 할 것은 ‘아니요.’라고만 하여라.
그 이상의 것은 악에서 나오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또는>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과 달리,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5,20-22ㄴ.27-28.33-34ㄴ.37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20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
21 ‘살인해서는 안 된다. 살인한 자는 재판에 넘겨진다.’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2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
27 ‘간음해서는 안 된다.’고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들었다.
28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음욕을 품고 여자를 바라보는 자는
누구나 이미 마음으로 그 여자와 간음한 것이다.
33 ‘거짓 맹세를 해서는 안 된다. 네가 맹세한 대로 주님께 해 드려라.’ 하고
옛사람들에게 이르신 말씀을 너희는 또 들었다.
34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아예 맹세하지 마라.
37 너희는 말할 때에 ‘예.’ 할 것은 ‘예.’ 하고,
‘아니요.’ 할 것은 ‘아니요.’라고만 하여라.
그 이상의 것은 악에서 나오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율법을 폐지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완성하러 오셨다고 말씀하십니다. “살인해서는 안 된다.”라는 제5계명에 대해서는 ‘형제에게 성을 내지 마라.’라고 말씀하십니다. “간음해서는 안 된다.”라는 제6계명은 ‘음욕을 품고 여자를 바라보지 마라.’라는 말씀으로 바꾸십니다. “거짓 맹세를 해서는 안 된다.”라는 제7계명은 ‘맹세하지 마라.’라는 말씀으로, 그리고 “자기 아내를 버리는 자는 그 여자에게 이혼장을 써 주어라.”라는 제9계명과 관련된 율법 조항은 ‘아내를 버리지 마라.’라는 말씀으로 바꾸십니다.
이처럼 십계명의 내용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바꾸심으로써 완성된 율법을 제시하십니다. 그렇다면 구약의 율법과 예수님께서 제시하신 완성된 율법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이에 대해서 예수님께서 구체적으로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남이 너희에게 해 주기를 바라는 그대로 너희도 남에게 해 주어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정신이다”(마태 7,12). 한마디로 시나이산에서 하느님께서 명령하신 모든 계명 안에 사랑을 담으라는 것입니다. 사랑은 율법의 완성이기 때문입니다(로마 13,10 참조). 실제로 예수님께서는 율법의 완성을 당신 삶으로 몸소 보여 주십니다.
살인하지 말라는 제5계명을 완성하시어 십자가 위에서 모든 사람을 용서하시고(루카 23,34 참조), 간음하지 말라는 제6계명을 완성하시어 여인들을 당신의 제자로 받아들이십니다(루카 8,1-3 참조). 또 하느님의 뜻에 언제나 “예.”로 응답하시고, 악의 권세에는 “아니오.”로 맞서심으로써 제7계명을 완성하셨습니다. 무엇보다도 당신의 배필이신 교회와의 끈을 결코 놓지 않으시고 마지막 날에 그 혼인의 완성을 이루실 것이라고 약속하심으로써 제9계명을 완성하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처럼 사랑을 가르치실 뿐만 아니라 삶으로 보여 주심으로써 우리가 걸어가야 할 길을 알려 주십니다.
한재호 루카 신부
|||||||||||||||||||||||||||||||||||||||||||||
<‘나’라는 시스템을 무분별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가장 큰 죄다>
복음: 마태오 5,17-37
아돌프 아이히만은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해 유럽의 600만이나 되는 유태인들을 색출하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고 수용소로 보내는데 나름대로 혁혁한 공을 세운 인물입니다. 패전 후 그는 아르헨티나에서 숨어 살다가 1960년 이스라엘 정보기관 모사드에 체포되어 예루살렘에서 재판을 받고 처형됩니다.
유태인 철학자 한나 아렌트는 이 재판 과정을 정리하여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이란 제목으로 책을 출판하였습니다. 아렌트는 처음에 아이히만이 냉철한 게르만 전사의 모습을 하고 있을 것이라 상상했지만 실제로는 무척 왜소하고 기가 약해 보이는 그냥 평범한 인물인 것에 놀랐습니다.
재판 때 15개의 죄목으로 기소되었지만 그는 단 하나의 죄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자신은 책임을 지는 위치가 아니었고 따라서 자신에게 죄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그저 하급 공무원으로서 출세를 위해 주어진 임무를 충실히 한 것뿐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것이 사실이었습니다. 그는 유태인을 증오해서가 아니라 공무원으로서 나라에서 시키는 일은 최대한 열심히 수행한 죄밖에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아렌트는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책의 부제를 ‘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라 붙였습니다. ‘어쩌면 누구도 그 시스템 안에서는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라는 생각이 부제에 들어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는 유죄를 선고받고 사형 판결을 받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한나 아렌트가 본 그의 가장 큰 죄는 바로 ‘악한 시스템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인 것’이었습니다. 아무리 평범하게 열심히 살아도 사람은 항상 어떤 시스템 안에 속해 그것의 지배를 받게 되어있습니다. 그런데 그 시스템이 악한 시스템인지 선한 시스템인지를 구별하지 못한다면 그것이 가장 큰 죄가 되는 것입니다.
어떤 선원이 한 배에서 평생을 열심히 일했습니다. 남이 꺼리는 일까지 도맡아 하는 착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마지막엔 경찰에 잡혀 사형선고가 내려졌습니다. 왜 평생 열심히 일했는데 사형을 받아야 했을까요? 그 배가 해적선이었기 때문입니다. 열심히 사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무엇을 위해’ 열심히 사는가를 아는 것입니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는 어떤 시스템에서 살아가는 것일까요? 내가 살아가는 이 시스템은 과연 좋은 것일까요, 나쁜 것일까요? 이것에 대한 진지한 물음 없이 산다면 그 사람의 미래는 자칫 아돌피 아이히만처럼 심판받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파라오의 종살이를 할 때 그들은 파라오에게 노예생활을 하면서도 자신들은 열심히 산다고 여겼습니다. 그리고 그 시스템에서 벗어날 생각을 하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그 파라오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온 인물이 있었는데 모세였습니다. 모세는 파라오가 악이고 이스라엘 백성은 그 악한 시스템에서 종살이하고 있다고 외쳤습니다.
이와 같은 모습으로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어떠한 시스템에서 해방시켜주러 오신 분이 계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지배당하는 어떠한 시스템이 악한 것임을 알려주러 오신 것이고 그것으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키러 오신 것입니다. 우리를 지배하는 그 시스템은 다름 아닌 바로 ‘나 자신’입니다. 모든 사람은 나 자신에게 봉사하는 것이 좋은 일이라 여기며 열심히 그 시스템을 따라 살아갑니다.
저는 이 ‘나 자신’을 ‘자아(ego)’라 부르고 싶습니다. 자아는 육체의 본성으로 사람을 자신 시스템 안에 복종시킵니다. 육체의 본성은 ‘세속-육신-마귀’, 즉 ‘돈에 대한 욕구-쾌락에 대한 욕구-교만에 대한 욕구’입니다. 이 욕구들을 따르면 사람은 나 자신만을 위하는 나뿐인 사람, 즉 나쁜 놈이 됩니다.
이것이 나쁘다는 것을 알게 하시기 위해 하느님께서 구약에 주신 것이 ‘율법’입니다. 율법은 모두 이 세 욕구와 반대됩니다. 재물을 나누어야하고, 육체를 절제해야 하며, 겸손해지라고 가르칩니다.
그리고 이것을 철저하게 따랐던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바리사이-율법학자들이었습니다. 문제는 여전히 자아라는 시스템에 복종하면서도 행위로만 하느님 법에 순종하려 했던 것에 있습니다. 분명 이런 율법들은 자신의 본성인 욕구를 없애기 위함이었는데 그 욕구에는 순종하면서 겉으로만 하느님 법을 따른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이에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너희의 의로움이 율법 학자들과 바리사이들의 의로움을 능가하지 않으면, 결코 하늘 나라에 들어가지 못할 것이다.”라고 말씀하십니다. 바리사이-율법학자들은 행위로 의로워지려 했지만, 여전히 자아의 욕망에 지배당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의 의로움을 넘으려면 죄를 우리의 행위보다는 우리 안에서 솟아나는 욕구에 두어야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모든 율법을 행위가 아니라 욕구에 정조준 하도록 하십니다. 다시 말해, “살인해서는 안 된다. 살인한 자는 재판에 넘겨진다.”는 율법을 “자기 형제에게 성을 내는 자는 누구나 재판에 넘겨질 것이다.”라고 바꾸시고, “간음해서는 안 된다.”는 율법을 “음욕을 품고 여자를 바라보는 자는 누구나 이미 마음으로 그 여자와 간음한 것이다.”로 바꾸십니다. 행위가 아니라 욕구가 죄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자아의 욕구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무엇보다도 나의 자아의 정체가 뱀과 같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하와가 뱀에게 넘어간 이유는 그 미소 뒤에 독을 감춘 뱀이 곧 자아임을 알아보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이에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희는 말할 때에 ‘예.’ 할 것은 ‘예.’ 하고, ‘아니요.’ 할 것은 ‘아니요.’라고만 하여라. 그 이상의 것은 악에서 나오는 것이다.”
아돌프 아이히만이 나치독일의 정체를 몰라서 그 지경이 되었듯이 우리도 우리 자아의 정체를 모르면 그렇게 될 것입니다. 사실 우리 안에서 나오는 목소리는 악한 것입니다. 그것을 알게 되면 이제 주님의 목소리만을 따르게 됩니다. 우리 시스템을 나 자신이 아니라 하느님께 순종하는 시스템으로 바꾸게 되는 것입니다.
늑대에게 자란 아이가 있습니다. 그는 늑대라는 본성과 욕구에 지배당합니다. 어두운 곳을 좋아하고, 익히지 않은 살코기를 좋아하며, 네 발로 걷고, 옷은 찢어버립니다. 이 욕구에서 벗어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연습하면 될까요? 안 됩니다. 자신이 인간임을 믿어야 합니다. 자신의 본성이 무엇이라고 믿는 그 믿음이 자신을 지배하는 시스템이 되는 것입니다.
나를 나라고 믿으면 자아의 본성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하느님도 “나는 나다!”라고 하셨습니다. 하느님을 나라고 믿어야 하느님의 본성에 사로잡힙니다. 하느님의 본성이란 사랑입니다. 아기가 부모를 알아 자신도 인간임을 믿게 되었을 때 네 발로 걷고 싶은 본성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처럼, 우리도 우리 아버지가 하느님임을 먼저 믿지 않으면 자아의 욕구에서 자유로워질 수 없습니다.
아버지를 하느님이라 믿으면 우리는 그리스도와 하나가 됩니다. 우리가 그리스도라 믿어야 하느님의 본성이 나와 지금의 본성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는 것입니다.
정말 우리가 지을 수 있는 가장 큰 죄는 ‘나’라는 시스템을 분별없이 받아들여 그 욕구에 순종하며 살아가는 것입니다. 정말 나를 나로 여기며 사는 것이 결국엔 가장 큰 죄가 될 수도 있습니다. ‘나’라는 나를 버리고, “나는 나다!”라는 ‘나’를 나의 나로 받아들여야합니다. 나는 어떤 ‘나’라는 시스템으로 살아가고 있습니까?
전삼용 요셉 신부
'영성의 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묵상] 바리사이들의 누룩과 헤로데의 누룩을 조심하여라. - 연중 제6주일 화요일 (2020.2.18.) (0) | 2020.02.18 |
---|---|
[묵상] 어찌하여 이 세대가 표징을 요구하는가? - 연중 제6주일 월요일 (2020.2.17.) (0) | 2020.02.17 |
[묵상] 사람들은 배불리 먹었다. - 연중 제5주간 토요일 (2020.2.15.) (0) | 2020.02.15 |
[묵상] 예수님께서 귀먹은 이들은 듣게 하시고 말못하는 이들은 말하게 하셨다. (2020.2.14.) (0) | 2020.02.14 |
[묵상] 상 아래에 있는 강아지들도 자식들이 떨어뜨린 부스러기는 먹습니다. - 연중 제5주간 목요일 (2020.2.13.) (0) | 2020.02.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