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희는 이렇게 기도하여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6,7-15
그때에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7 “너희는 기도할 때에 다른 민족 사람들처럼 빈말을 되풀이하지 마라.
그들은 말을 많이 해야 들어 주시는 줄로 생각한다.
8 그러니 그들을 닮지 마라.
너희 아버지께서는 너희가 청하기도 전에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계신다.
9 그러므로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여라.
‘하늘에 계신 저희 아버지, 아버지의 이름을 거룩히 드러내시며
10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
11 오늘 저희에게 일용할 양식을 주시고
12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도 용서하였듯이 저희 잘못을 용서하시고
13 저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저희를 악에서 구하소서.’
14 너희가 다른 사람들의 허물을 용서하면,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실 것이다.
15 그러나 너희가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지 않으면,
아버지께서도 너희의 허물을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의 묵상 |||||||||||||||||||||||||
어린 시절에 부모님의 손에 이끌려 주일 미사에 참례하면, 미사가 참으로 재미없고, 지루하고 따분하기만 하였습니다. 그런 저에게 유일하게 기쁘던 시간이 있었는데, 바로 주님의 기도를 봉헌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유일하게 아는 기도문이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성호경도 제대로 긋지 못하고, 다른 기도문은 물론이고 신자들이 응답하는 부분의 기도는 제대로 하는 것이 하나도 없었는데, 어떤 연유인지 주님의 기도만은 누구보다 큰 소리로 외워서 바칠 수 있었습니다. 그 사실을 알고 계시던 부모님께서는 주님의 기도를 봉헌할 때가 되면 늘 제게 주님의 기도를 외우는 시간이라고 알려 주셨습니다. 그리고 제가 위풍당당하게 주님의 기도를 바치면, 부모님께서는 매우 기쁘게 웃으시며 그 모습을 바라보셨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 복음은 예수님께서 가르쳐 주신 주님의 기도를 우리에게 들려줍니다. 예수님께서 기도는 빈말의 되풀이가 아니며, 말을 많이 해야 하느님께서 들어주시는 것이 아니라고 하시면서 기도를 가르쳐 주십니다. 빈말의 되풀이가 아니요 기도의 핵심이 담긴 기도, 그것이 바로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주님의 기도’입니다.
이 기도에 담긴 신학적 의미를 하나하나 되새기면서 기도할 수 있다면 참 좋은 일일 것입니다. “아버지의 이름을 거룩히 드러내시고,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고,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시고 …….” 그런데 막상 주님의 기도를 봉헌하다 보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하고 시작한 기도는 어느새 “악에서 구하소서.” 하고 끝이 나고 말지요. 주님께서 직접 제자들을 통하여 우리에게 알려 주신 기도가 형식적인 기도가 되는 듯한 기분이 드는 순간입니다. 그래도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무슨 뜻인지도 모르면서 바친 어린이의 기도를 웃으면서 기쁘게 쳐다보던 부모의 마음을 생각한다면, 하느님 앞에 어린이요 자녀인 우리가 기도를 바치면, 부모님께서 그러셨던 것처럼 하느님께서도 웃으시면서 우리를 기쁜 마음으로 바라보아 주실 것입니다. 그렇게 의탁하는 마음으로 “아빠, 아버지”께 우리의 기도로 웃음을 드려 보면 어떨까요?
박형순 바오로 신부
~~~~~~~~~~~~~~~
<무언가 청할 때 주모송부터 바쳐야 하는 이유>
오늘 복음은 사순절 때 실천해야 하는 기도-자선-단식 중, 기도에 관한 내용입니다. 기도의 방법은 많을지라도 성경은 ‘주님의 기도’만을 권장합니다. 주님의 기도가 모든 기도 내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끔 하느님께서 왜 카인의 제물은 받아들이시지 않고 아벨의 제물만을 받아들이셨느냐고 묻는 분들이 계십니다. 카인의 제물은 먹다 남은 곡식이었고 아벨은 좋은 양을 바쳤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분도 계시고, 더 황당하게는 하느님께서 채식보다는 육식을 더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카인과 아벨의 제사는 곧 기도입니다. 기도는 축복을 청하는 것입니다. 축복을 청할 때 카인보다 아벨의 기도를 들어주시는 이유는 아벨은 은총 지위에 있었기 때문입니다. 카인은 농부였습니다. 처음 하느님께서 아담을 창조하시고 명령하신 것은 동물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일이었습니다. 그러나 죄를 지은 아담에게는 농사일을 시키셨습니다. 농사가 나쁘다는 말이 아니라, 성경에서 하느님과의 관계가 끊어진 이가 하는 일을 상징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아벨은 아담이 죄를 짓기 이전의 상태를 의미하고 카인은 그 이후의 상태를 상징하는 것입니다.
동물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일이란 마치 세례를 주는 것처럼 선교하고 사랑하는 하느님 자녀로서의 일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선악과에 손을 댄 아담은 남을 사랑하는 일보다는 소유하는 일에 집착합니다. 자기 손으로 재산을 불리려는 사람은 저주받은 땅에서 고생은 하지만 충분한 소출은 얻어내지 못합니다. 주님께서 그의 기도를 들어주시지 않고 그에게 축복을 거두시기 때문입니다.
춘추시대 미소년 미자하는 잘생긴 외모 덕분에 일찍부터 위나라 영공의 총애를 받았습니다. 그는 궁궐에 머무르면서 원하는 모든 일을 할 수 있었습니다.
어느 날 밤, 미자하의 어머니가 위중하다는 전갈을 받고 어머니를 뵙기 위해 미자하는 영공을 핑계로 왕이 타고 다니는 전용 마차를 타고 대궐 문을 나가게 됩니다. 위나라의 법에 따르면 왕의 마차를 함부로 타다 적발되면 손발을 자르는 형벌에 처하게 되어있었습니다. 신하들이 미자하를 비판하자 영공은 오히려 그를 위중한 어머니를 위한 효도라고 칭찬하였습니다.
다른 날, 영공과 미자하가 궁궐 산책을 하던 중 탐스럽게 익은 복숭아를 발견해 미자하가 한입 먹고는 영공에게 매우 달다며 건네줍니다. 신하들이 미자하의 행동을 비판하며 처벌을 요구하자 영공은 오히려 그를 칭찬합니다. 얼마나 본인을 생각했으면 그 맛있는 복숭아를 다 먹지 않고 자기에게 건네주었겠느냐는 것입니다.
세월이 흘러 그 아름다웠던 미자하도 나이가 들고 아름다움이 예전만 같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미색이 퇴색하자 영공의 총애도 식어갑니다. 결국, 영공은 지난날 왕의 마차를 함부로 이용하고 먹다 남은 복숭아를 왕에게 건넨 일을 문제 삼아 그를 내쫓아버립니다.
여기에서 여도지죄(餘桃之罪: 먹다 남은 복숭아의 죄)라는 고사성어가 생겼습니다. 미자하의 행동에는 변함이 없었지만 영공의 마음이 변하여 화를 당한 것입니다. 사마천의 『사기열전』에 나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미자하가 영공의 마음에 들 때는 무엇을 해도 괜찮았습니다. 영공은 무슨 청이든 다 들어주었습니다. 하지만 그가 어여쁘게 보이지 않자 아주 작은 실수도 용납될 수 없었습니다. 그때는 무엇을 청해도 영공은 들어줄 마음이 없게 됩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 알려주시는 ‘주님의 기도’는 하느님의 아드님이 드리는 기도입니다. 철 모르는 어린이일 때는 마냥 예뻐 보여서 조금만 칭얼대면 부모가 웬만하면 다 들어줍니다. 하지만 어른이 되어서도 부모에게 그런 모습을 보이면 부모의 태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제 부모에게 무언가 해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었는데도 청하기만 한다면 부모가 자녀에게 이용당하는 느낌을 받기 때문입니다. 우리 자신에게 부모님께 원하는 것을 물을 때, “그저 건강하게 오래오래 사시면 돼요.”라고만 말할 것입니다. 내 뜻보다 부모의 뜻을 먼저 헤아리려 할 것입니다. 이것이 부모와의 올바른 관계입니다. 그렇게 부모의 뜻을 헤아리는 기도가 주님의 기도입니다.
성모송은 어머니를 통해 바치는 기도입니다. 아버지도 어머니에게 잘하는 자녀에게 더 잘해주고 싶은 것입니다. 하느님께서 우리의 어머니로 세워주신 성모님을 통해 드리는 기도는 우리가 그분의 자녀임을 더욱 명확히 해 줍니다. 물론 영광송은 모든 것이 아버지의 영광을 위한 것임을 다시 다짐하는 것이니, 하느님 자녀로서 당연히 가져야 하는 자세는 주모송 안에 다 들어있습니다. 그렇기에 무언가 청할 때, 그 청하는 것을 어린이처럼 칭얼대기보다는 부모가 “네가 원하는 것이 무엇이냐?”라고 물을 수 있게 주모송으로 그분의 뜻을 먼저 헤아려드려야 합니다.
성녀 제르투르다에게 사람들이 기도를 청하였습니다. 성녀 제르뚜르다는 그 기도를 일일이 다 기억할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주님은 알아서 그 기도들을 다 들어주셨습니다. 이에 그 이유를 물으니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네가 내 뜻을 따라주기로 결심한 순간부터 나도 네 뜻을 따라주기로 결심했다.”
주님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다 알고 계십니다. 카인인 상태로 청하는지, 아벨인 상태로 청하는지 먼저 살펴야 합니다. 카인에서 아벨로 옮겨가는 기도가 주님의 기도입니다. 그분 뜻을 먼저 헤아릴 때 농사를 짓던 아담에서 동물에게 이름을 지어주는 아담으로 바뀝니다.
그래서 주님의 기도에서 가장 기본 되는 구절이 “저희에게 잘못한 이를 저희가 용서하오니, 저희 죄를 용서하시고”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마지막에 “너희가 다른 사람들의 허물을 용서하면, 하늘의 너희 아버지께서도 너희를 용서하실 것이다. 그러나 너희가 다른 사람들을 용서하지 않으면, 아버지께서도 너희의 허물을 용서하지 않으실 것이다.”라는 말씀을 덧붙이신 것입니다.
무언가 청할 때 내가 원하는 것을 주님께 알리는 것은 아무 의미 없습니다. 그분은 우리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이미 다 알고 계십니다. 그분은 우리가 당신의 뜻에 관심을 가지는 당신 자녀인가, 아니면 요구만 하는 외부인인가에만 관심이 있으십니다. 주님의 기도는 그리스도께서 바치신 기도로 우리가 그분의 모든 은혜를 당연히 받아야만 하는 은총 지위로 이끌어주는 유일한 문입니다.
#전삼용 요셉 신부의 매일 복음 묵상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