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사람의 아들은 넘겨질 것이다.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어야 한다. (마르코 9,30-37) - 연중 제7주간 화요일 (2024.5.21.)
본문 바로가기
영성의 샘

[묵상] 사람의 아들은 넘겨질 것이다.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어야 한다. (마르코 9,30-37) - 연중 제7주간 화요일 (2024.5.21.)

by honephil 2024. 5. 21.

[묵상] 사람의 아들은 넘겨질 것이다.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어야 한다. (마르코 9,30-37)   -  연중 제7주간 화요일 (2024.5.21.)

<사람의 아들은 넘겨질 것이다.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어야 한다.>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9,30-37
그때에 예수님과 제자들이 30 갈릴래아를 가로질러 갔는데,
예수님께서는 누구에게도 알려지는 것을 원하지 않으셨다.
31 그분께서 “사람의 아들은 사람들의 손에 넘겨져 그들 손에 죽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죽임을 당하였다가 사흘 만에 다시 살아날 것이다.” 하시면서,
제자들을 가르치고 계셨기 때문이다.
32 그러나 제자들은 그 말씀을 알아듣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분께 묻는 것도 두려워하였다.
33 그들은 카파르나움에 이르렀다.
예수님께서는 집 안에 계실 때에 제자들에게,
“너희는 길에서 무슨 일로 논쟁하였느냐?” 하고 물으셨다.
34 그러나 그들은 입을 열지 않았다.
누가 가장 큰 사람이냐 하는 문제로 길에서 논쟁하였기 때문이다.
35 예수님께서는 자리에 앉으셔서 열두 제자를 불러 말씀하셨다.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고 모든 이의 종이 되어야 한다.”
36 그러고 나서 어린이 하나를 데려다가 그들 가운데에 세우신 다음,
그를 껴안으시며 그들에게 이르셨다.
37 “누구든지 이런 어린이 하나를 내 이름으로 받아들이면 나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나를 보내신 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의 묵상 ||||||||||||||||||||||||

< 진정한 부자는 가난한 자를 멸시하지 않는다 >

히틀러는 채식주의자이자 동물보호법의 창시자이며, 동시에 세계 제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고 600만 유태인을 학살한 사람입니다. 이 두 개의 아이러니한 심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히틀러는 사랑이 많은 사람이었을까요, 아니면 악한 사람이었을까요? 악한 사람이 어떻게 동물을 보호하는 법까지 만들었을까요? 

 

그렇지만 사람을 판단할 때 짐승이나 물건을 사랑하는 것을 보고 판단하면 안 됩니다. 그것들에 자신의 처지를 투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어렸을 때 부모로부터 버림받았다고 느꼈던 사람은 커서 물건을 버리지 못합니다. 그래서 마구 쌓아놓습니다. 

 

금쪽 상담소에 ‘김창훈’ 씨가 나왔습니다. 저장 강박증이 있고 아이를 지나치게 보호하려고 합니다. 그 이유는 5남매를 둔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어머니는 김창훈 씨를 바빠서 보호해 줄 수가 없어서 4년을 맞으며 학교에 다녀야 했습니다. 그는 말합니다. 

 

“보호를 못 해줄 거라면 낳지를 말지!”

 

결국 물건이나 동물은 사랑받지 못한 자신의 처지와 같아서, 자기 연민으로 사랑하는 것이지 동물이 진정으로 좋아서 사랑하는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그 사람의 사랑의 정도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요? 같은 인간 중에 보잘것없는 사람을 대하는 것을 보면 됩니다. 
영화 ‘베테랑’에서 보면 재벌 2세가 가난한 사람을 핍박하는 경우를 봅니다. 그러나 진정한 부자는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그 가난한 사람이 자신과 경쟁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런다면 아직 그는 부자가 아닙니다. 자신이 부자라고 느끼는 사람은 그럴 수 없습니다. 

 

재벌 2세 조태오는 밀린 임금 420만 원 때문에 1인 시위를 하는 아버지를 자기 사무실로 불러올린 다음 아버지가 구타당하는 모습을 자식이 보게 만듭니다. 그리고 그는 회사 이미지를 위해서는 환자들에게 잘 대해주는 모습도 보여줍니다. 

 

수천억 자산가인 김승호 씨는 우리나라 사업가 중 어떤 사람들은 식당에 갔을 때 종업원들을 막 대하는 것을 보았다고 합니다. 그러면 그 사람은 상대해서는 안 될 사람이라고 선을 긋는다고 합니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아직 부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사람에겐 아직도 식당 종업원이 자신의 지위를 올리는 대상이기 때문입니다. 돈만이 아니라 정신적인 면도 부자가 되어야 합니다. 

 

사람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은 서로 높아지려는 제자들을 나무라십니다. 그러면서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고 모든 이의 종이 되어야 한다.”라고 하십니다. 그러고 나서 어린이 하나를 데려와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누구든지 이런 어린이 하나를 내 이름으로 받아들이면 나를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리고 나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나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나를 보내신 분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만약 내가 진정한 어른이 되었다면 모든 어린이를 사랑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모든 아기가 자신이 받은 은혜를 힘입는다면 자신처럼 될 것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것은 동시에 아이들을 낳은 부모를 받아들이는 것과 같습니다. 내가 하느님을 믿고 하느님의 자녀가 되었다면 모든 인간을 사랑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모든 인간을 창조하신 하느님을 받아들이는 길입니다.

 

그러니 모든 인간을 사랑하려면 새로 태어나야 합니다. 애벌레가 나비가 되면 시각이 바뀝니다. 애벌레일 때는 나보다 못한 이들을 괄시하고 무시합니다. 자신보다 나은 애벌레가 있다면 그와 결탁합니다. 그래야 자기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미 나비가 되면 자비의 눈으로 애벌레들을 바라보게 됩니다. 애벌레들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눈이 사라집니다. 

 

오늘 독서에서 우리 사이에 여러 분쟁이 일어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욕정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 욕정이 욕심이 되고 그 욕심이 경쟁하게 하고 다투게 합니다. 따라서 아직 애벌레의 욕정이 남아있다면 그 사람은 나비가 되게 창조하신 하느님의 적이 됩니다.

 

“절개 없는 자들이여, 세상과 우애를 쌓는 것이 하느님과 적의를 쌓는 것임을 모릅니까? 누구든지 세상의 친구가 되려는 자는 하느님의 적이 되는 것입니다.”

 

성 프란치스코의 삶은 이렇게 변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매우 교만한 부잣집 아들이었습니다. 그런데 한 거지를 만나 자비심을 느끼며 그 삶이 그들을 무시하며 살 때보다 더 행복함을 알고 그들을 더 사랑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습니다. 구걸하는 거지를 무시한 게 마음에 걸려 그에게 가진 돈을 다 주었는데 참 평화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다시 태어난 성 프란치스코는 이제 작은 이들을 무시할 수 없었습니다. 모든 것을 사랑하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사람으로서 가장 작은 사람 먼저 사랑해야 합니다. 그러면 모든 것을 사랑하게 됩니다.
https://youtu.be/UAUD0bfTjnU?si=52wD8Fg1TniXde-X

 

#전삼용 요셉 신부의 매일미사 묵상글

누구든지 첫째가 되려면, 모든 이의 꼴찌가 되고 모든 이의 종이 되어야 한다. 마르 9,35

"If anyone wishes to be first, he shall be the last of all and the servant of all. Mk 9,35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