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 (마태오 13,24-43) - 연중 제16주일(조부모와 노인의 날, 2023.7.23.)
본문 바로가기
영성의 샘

[묵상]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 (마태오 13,24-43) - 연중 제16주일(조부모와 노인의 날, 2023.7.23.)

by honephil 2023. 7. 23.

[묵상]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 (마태오 13,24-43) - 연중 제16주일(조부모와 노인의 날, 2023.7.23.)


2021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으로 고독과 죽음의 고통을 겪는 노인들을 위로하고, 신앙의 전수뿐 아니라 가정과 사회에서 노인의 역할과 중요성을 되새기며 그들의 소명을 격려하고자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을 제정하였다. 한국 교회는 보편 교회와 함께 ‘성 요아킴과 성녀 안나 기념일’(7월 26일)과 가까운 7월 넷째 주일을 ‘조부모와 노인의 날’로 지낸다(주교회의 2021년 추계 정기 총회).


오늘은 연중 제16주일입니다. 교회는 주일마다 함께 모여 주님의 파스카를 기념합니다. 말씀과 생명의 빵 안에 계시는 성자를 알아 뵙고, 그분을 참된 예언자요 목자로 모시어, 영원한 기쁨의 샘에 이르게 하여 주시는 하느님께 감사드립시다.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
✠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13,24-43
그때에 예수님께서 비유를 들어 군중에게 24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자기 밭에 좋은 씨를 뿌리는 사람에 비길 수 있다.
25 사람들이 자는 동안에 그의 원수가 와서 밀 가운데에 가라지를 덧뿌리고 갔다.
26 줄기가 나서 열매를 맺을 때에 가라지들도 드러났다.
27 그래서 종들이 집주인에게 가서, ‘주인님, 밭에 좋은 씨를 뿌리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가라지는 어디서 생겼습니까?’ 하고 묻자,
28 ‘원수가 그렇게 하였구나.’ 하고 집주인이 말하였다.
종들이 ‘그러면 저희가 가서 그것들을 거두어 낼까요?’ 하고 묻자,
29 그는 이렇게 일렀다.
‘아니다. 너희가 가라지들을 거두어 내다가 밀까지 함께 뽑을지도 모른다.
30 수확 때까지 둘 다 함께 자라도록 내버려 두어라.
수확 때에 내가 일꾼들에게, 먼저 가라지를 거두어서 단으로 묶어 태워 버리고
밀은 내 곳간으로 모아들이라고 하겠다.’”
31 예수님께서 또 다른 비유를 들어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겨자씨와 같다. 어떤 사람이 그것을 가져다가 자기 밭에 뿌렸다.
32 겨자씨는 어떤 씨앗보다도 작지만, 자라면 어떤 풀보다도 커져 나무가 되고
하늘의 새들이 와서 그 가지에 깃들인다.”
33 예수님께서 또 다른 비유를 그들에게 말씀하셨다.
“하늘 나라는 누룩과 같다.
어떤 여자가 그것을 가져다가 밀가루 서 말 속에 집어넣었더니,
마침내 온통 부풀어 올랐다.”
34 예수님께서는 군중에게 이 모든 것을 비유로 말씀하시고,
비유를 들지 않고는 그들에게 아무것도 말씀하지 않으셨다.
35 예언자를 통하여 “나는 입을 열어 비유로 말하리라.
세상 창조 때부터 숨겨진 것을 드러내리라.”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려고
그리된 것이다.
36 그 뒤에 예수님께서 군중을 떠나 집으로 가셨다.
그러자 제자들이 그분께 다가와,
“밭의 가라지 비유를 저희에게 설명해 주십시오.” 하고 청하였다.
37 예수님께서 이렇게 이르셨다.
“좋은 씨를 뿌리는 이는 사람의 아들이고, 38 밭은 세상이다.
그리고 좋은 씨는 하늘 나라의 자녀들이고 가라지들은 악한 자의 자녀들이며,
39 가라지를 뿌린 원수는 악마다.
그리고 수확 때는 세상 종말이고 일꾼들은 천사들이다.
40 그러므로 가라지를 거두어 불에 태우듯이, 세상 종말에도 그렇게 될 것이다.
41 사람의 아들이 자기 천사들을 보낼 터인데,
그들은 그의 나라에서 남을 죄짓게 하는 모든 자들과
불의를 저지르는 자들을 거두어, 42 불구덩이에 던져 버릴 것이다.
그러면 그들은 거기에서 울며 이를 갈 것이다.
43 그때에 의인들은 아버지의 나라에서 해처럼 빛날 것이다.
귀 있는 사람은 들어라.”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의 묵상 ||||||||||||||||||||||||

 

< 오늘의 기도 >

 

주님

감사하나이다.

오늘도 주님의 사랑을 느끼고, 믿으며, 

마음과 몸으로 실천하게 하소서.

 

아멘

 

 

 

<밀과 가라지는 이것의 있고 없고 차이>

 

    오늘 복음은 밀과 가라지의 비유입니다. 밀은 하느님의 사람이고 구원 받을 사람이며 가라지는 사탄의 씨를 받은 가짜이고 불 속으로 갈 운명입니다. 이는 마치 하늘나라의 비유 중 심판에 관한 물고기를 종류대로 골라 어떤 것은 담고 어떤 것은 바다에 다시 던지는 내용이나, 혹은 양과 염소를 구분하는 내용과 같습니다. 이 모든 비유는 인간의 행위가 아닌 ‘새로 태어남’으로만 구원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다시 태어나는 방법은 ‘말씀’을 받아들이는 수밖에 없습니다. 마치 씨 뿌리는 농부의 비유처럼 그리스도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미사 때 말씀의 전례, 성찬의 전례가 그리스도를 우리 안에 심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는 이제 단순한 인간이 아닌 신이 된 인간입니다. 그런데 하느님 말씀을 받아들임은 ‘십자가’를 받아들임과 같습니다. 
    이태리 몬테팔코라는 작은 동네에 가면 십자가의 글라라 성녀가 있습니다. 어느 날 성녀가 기도하고 있는데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시고 지나가고 계셨습니다. 왜 슬퍼하시느냐고 성녀가 묻자 “요즘엔 내 십자가를 꽂을 굳은 땅이 없단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성녀는 너무 가슴이 아파 “당신 십자가를 제 심장에 꽂으세요”라고 말씀드렸습니다. 그랬더니 그리스도는 당신 십자가를 성녀의 심장에 꽂았고 성녀의 심장에는 그 십자가가 새겨져 지금도 썩지 않고 있습니다. 
    그분의 십자가를 받아들였다고 다 가라지가 아니라 밀일까요? 생명나무를 먹기 위해서는 선악과를 바쳐야만 했습니다. 모든 땅의 소출의 10분의 1은 하느님 것입니다. 아담과 하와는 뱀 때문에 감사를 잊어버렸습니다. 아이가 부모의 뜻을 따라주는 때는 감사할 때 뿐입니다. 감사하지 않으면 저항합니다. 밀과 가라지의 구분은 성체를 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감사를 준비했느냐는 것입니다. 유다 이스카리옷은 감사하지 못해서 성체를 영하고도 구원 받지 못했습니다. 
    그러면 감사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오프라 윈프리는 흑인으로서 미국 첫 앵커가 되었고 엄청난 성공과 영향력을 지니게 되었습니다. 그녀가 그렇게 된 데는 ‘감사 일기’의 힘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억지로라도 감사를 찾으려고 했더니 정말 감사한 것들이 눈이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때부터 그녀의 인생은 바뀌었습니다. 
    또 어떤 이들은 감사를 받으면 더 감사하게 된다고 말합니다. 자존감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칼릴 라파티라는 사람은 노숙자에 마약 중독자였습니다. 그는 어떤 사람을 만났고 그 사람이 자신에게 도움을 받고 싶으면 먼저 길거리에 떨어진 휴지부터 주워 쓰레기통에 넣으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이웃에게 친절하고 같은 노숙자들에게 자신의 것을 나누라고 하였습니다. 그렇게 순종 하였더니 주위 사람들이 감사하다고 했고 그의 자존감은 높아졌습니다. 처음 느껴보는 행복이었습니다. 이것에 저절로 감사가 나왔다고 합니다. 그의 삶도 그 이후로 완전히 바뀌었습니다. 
    감사의 마음을 가지냐, 가지지 않느냐는 나의 ‘선택’입니다. 김지은 씨는 북한에서 9년 간 한의사로 일하면서 절망을 느꼈습니다. 이에 맨몸으로 두만강을 건너 갖은 고생을 하다가 구사일생으로 한국에 들어올 수 있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다단계 판매사원으로 일했습니다. 그러다 정착금으로 받은 것을 몽땅 잃었습니다. 먹고 살 길이 막막했습니다. 북한에서 하던 한의사 일을 계속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보건복지부를 찾아갔습니다. 담당 공무원은 무심하게 “북한에 가서 대학 졸업 증명서를 가져오세요”라고 대답했습니다. 
    그녀는 유서를 써 놓고 문을 닫아 걸었습니다. 1분 후면 목숨이 끊어질 순간이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모든 생각이 사라지고 고요함이 밀려왔습니다. 시야가 매우 투명해지고 지나간 일들이 영화처럼 스쳐 갔습니다. 
    ‘지금보다 더 힘들 때가 많았구나! 그런데 왜 세 끼 밥을 다 먹을 수 있는 지금 죽으려 하는 것인가? 그렇다. 욕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녀는 다시 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러나 이전의 욕심을 내려놓기로 했습니다. 살아있는 것에 감사하기로 했습니다. 그러자 모든 것이 조금씩 잘 풀리기 시작하였습니다. 직장 동료들은 그녀의 한의대 진학을 도와주었습니다. 몇 년 후 마침내 한의사 국가 고시에 합격하였습니다. 그녀는 남북한의 한의사 자격증을 모두 가진 최초의 한의사가 되었고 개인 병원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녀는 “당신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합니다.
 https://youtu.be/wisCajF7Rps

#전삼용 요셉 신부의 매일미사 묵상글

하늘나라는 자기 밭에 좋은 씨를 뿌리는 사람에 비길 수 있다. 마태 13,24

The kingdom of heaven may be likened to a man who sowed good seed in his field. Mt 13,24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