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루카 1,39-45) - 대림 제4주일 (2021.12.19.)
본문 바로가기
영성의 샘

[묵상]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루카 1,39-45) - 대림 제4주일 (2021.12.19.)

by honephil 2021. 12. 19.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 루카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9-45
39 그 무렵 마리아는 길을 떠나, 서둘러 유다 산악 지방에 있는 한 고을로 갔다.
40 그리고 즈카르야의 집에 들어가 엘리사벳에게 인사하였다.
41 엘리사벳이 마리아의 인사말을 들을 때 그의 태 안에서 아기가 뛰놀았다.
엘리사벳은 성령으로 가득 차 42 큰 소리로 외쳤다.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43 내 주님의 어머니께서 저에게 오시다니 어찌 된 일입니까?
44 보십시오, 당신의 인사말 소리가 제 귀에 들리자
저의 태 안에서 아기가 즐거워 뛰놀았습니다.
45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 오늘의 묵상 ||||||||||||||||||||||||||

 

<삶에 지치지 않으려면 이 방법밖에 없다>

 

    오늘 복음에서 엘리사벳은 자신을 찾아온 성모 마리아께 이렇게 외칩니다.

 

    “행복하십니다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

우리가 행복하지 못한 이유는 하느님의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지 못하기 때문입니다그리고 하느님의 말씀을 믿지 못하는 이유는 자기 자신을 믿기 때문입니다.

 

    자기 자신을 믿는 이들의 특징은 무엇일까요끊임없이 도전하다 그 실패에 좌절하고 맙니다자아는 도전하게 만듭니다도전하게 하려고 항상 지금 불만족스럽게 만듭니다만족하는 사람은 도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러다 지칩니다.

 

    “열심히 살다 보니 삶이 피폐해지는 느낌이다.”, “더 잘하고 싶은데 진도가 안 나간다모든 일이 힘들기만 하다.”,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항상 부족하다는 느낌이 든다.” 등의 생각이 든다면 삶이 지쳤다는 증거입니다왜 지칠까요나 자신을 믿었기 때문입니다자신을 믿는 마음이 나를 지치게 만듭니다쉬지 못하게 합니다.

 

    사람은 이성의 동물일까요그렇지 않습니다그러면 적당히 일하고 쉬며 지치지 않을 것입니다올리버 색스의 화성의 인류학자란 책에 이런 사례가 나온다고 합니다순행성 기억 상실증 환자인 그레그에게 그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슬퍼할 사이도 없이 그는 이 사실을 금방 잊어버렸습니다그런데 그레그는 아버지의 죽음 이후 극도의 우울증에 시달리며 몇 년 동안 집에 틀어박혀 나오려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그는 날이 갈수록 피폐해져만 갔습니다아버지의 죽음을 기억하지 못하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요?

 

    내가 의식적으로 기억하지 못해도 나를 조정하는 무언가가 내 안에 있다는 사실입니다바로 감정입니다감정은 축적되어 나를 지배합니다나를 지배하는 것은 기억도지성도 아닙니다나의 감정입니다다시 말해 나를 지치게 만드는 것은 내가 실패했다는 기억도연인과 헤어졌다는 기억도 아니란 것입니다나의 감정입니다자아는 불만족의 감정을 주고 믿음은 감사와 기쁨의 기분을 줍니다.

 

    영화 봄날은 간다’(2001)에서 상우는 자연의 소리를 채집하는 사운드 엔지니어로강릉 방송국의 PD이자 DJ로 일하는 은수를 만나 불같은 사랑에 빠집니다둘은 항상 라면을 먹는데 이는 둘의 사랑이 라면처럼 금방 끓고 라면처럼 금방 불어버리는 사랑임을 암시합니다은수는 이미 결혼 경력이 있는 여자이고 상우는 진지한 사랑이었습니다.

 

    둘의 사랑이 식는 것을 느끼자 은수는 차갑게 돌아섭니다하지만 사랑이 어떻게 변하느냐며 상우는 분노합니다홧김에 은수가 산 새 차를 긁어버리는 유치한 행동도 합니다. 그런 그의 유일한 위로는 할머니였습니다할머니는 상우를 아껴주었습니다그런데 할머니가 돌아가십니다상우는 할머니의 죽음을 보며 자신의 감정에 그리 매몰될 것이 없음을 깨닫고 현실로 돌아옵니다.

 

    이때 은수는 다시 상우가 생각이 납니다상우와 화해하고 싶습니다그래서 할머니에게 드리라며 화분을 들고 상우를 만납니다다시 시작하려 합니다하지만 상우는 할머니의 죽음도 모르는 은수와 다시 사귈 생각이 없습니다화분을 다시 돌려주고 헤어집니다그리고 다시 세상의 소리를 모읍니다그 소리 하나에도 행복했던 시절이 떠오릅니다그리고 미소를 지으며 영화는 끝납니다.

 

    영화에서 영원히 외로울 사람은 은수입니다감정에 치우치는 삶을 사는 여인이고상우는 이제 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 되었습니다감정을 다스릴 줄 아는 사람이 되었다는 말은 지금 있는 자연의 소리로도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이 되었다는 뜻입니다.

 

    지금 감사할 수 있다는 말은 지금 가진 것에 만족한다는 뜻입니다바람 소리새소리맑은 공기에 감사합니다가진 것에 감사한다는 말은 그것을 나에게 주신 분에 게 감사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감사는 이렇게 믿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창조자에 대한 믿음으로 마음의 문을 열게 합니다성모님께서 믿으신 분이 되신 이유는 먼저 감사할 줄 아는 분이셨기 때문입니다감사하면 믿게 되고 하느님을 믿게 되면 어린아이처럼 지치는 일이 없습니다.

 

    돈이 행복지수에 관여하지 않으면 부탄이란 작은 나라는 매우 높은 수준의 행복지수를 나타냅니다부탄의 4대 국왕인 지미 싱게 왕축은 “국민총행복지수가 국내총생산보다 중요하다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1729년에 만들어진 부탄 왕국의 법전에는 백성을 행복하게 하지 못하는 정부는 존재 이유가 없다라고 쓰여있습니다부탄은 국민총행복지수(GNH)라는 부서를 따로 만들어 부탄에서 행하는 모든 정책에 실제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부탄이 말하는 GNH 행복지수는 심리적 웰빙건강시간 사용교육문화적 다양성굿 거버넌스공동체 활력도생태학적 다양성 및 회복력생활 수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 부탄은 400년 전인 1500년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합니다자동차와 도로는 전혀 없었고 대부분은 글을 읽을 줄 모르는 문맹이었습니다국가에 의사가 단 2명밖에 없었으며 평균수명은 38개인당 국민소득은 51달러로 최빈국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부탄은 국민행복지수를 국가 기본 정책으로 정한 이후 전혀 다른 나라가 되었습니다여전히 1인당 국민소득은 3천 달러가 못 되는 최빈국 수준이지만 국민의 삶의 질은 몰라볼 정도로 향상되었습니다국가에서는 실력에 따라 고등교육을 제공하며 현재 국민 기대수명은 69세입니다.

 

    물론 현재는 TV와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자신들이 얼마나 못 사는 나라인지 알게 되어 젊은이들은 도시로 몰리고 힘든 일은 하지 않으려고 하여 청년 실업률이 증가했으며 외국으로 젊은 사람들이 많이 빠져나가는 상황이라고 합니다돈이 없어도 행복할 수 있었던 세계의 유일한 부탄도 이제 돈이 행복이라는 세상 물결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부탄처럼 행복을 위한 정책을 지금 바로 우리도 실천할 수 있습니다나부터라도 지금 가진 것에 만족하고 지금 처지에 만족하고 감사할 수 있는 정책을 펴면 됩니다내가 나를 믿고 도전하다 보면 실패를 거치며 나에 대한 믿음이 줄어들지만주님을 믿고 그 뜻을 따르다 보면 실패해도 지치지 않습니다내가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감정이 나를 조종합니다지금 감사하지 않으면 지금 이 순간은 나를 믿는 시간이고 분명히 지쳐 쓰러질 것입니다우리가 지칠 수 없는 이유는 우리를 지치게 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감사로 중화시키기 때문입니다감사를 노력하지 않는 사람은 삶에서 지칠 수밖에 없습니다자아의 종살이를 하기 때문입니다.

 https://youtu.be/wPNIA16sxKs

#전삼용 요셉 신부의 매일 복음 묵상

 

당신은 여인들 가운데에서

가장 복되시며

당신 태중의 아기도 복되십니다.

루카 1.42

 

Most blessed are you among women,

and blessed is the fruit of your womb.

Lk 1.42

 

반응형

댓글